카테고리 없음

위험한 질환 관상동맥 질환 - 협심증에 대한 증상을 알아봅시다.

Haraj 2021. 7. 20. 01:18
728x90
반응형

협심증 발생원인

관상 동맥 질환 (CHD)은 관상 동맥이 손상되어 혈액 순환을 방해 할 때 발생합니다.

 

조여오는 가슴 통증 협심증을 주의하세요!

 

가슴이 쥐어짜듯이 아프고 통증이 있다면 협심증을 의심해야 합니다.

협심증은 왜 생길까요?

관상동맥이 동맥경화증에 의해 좁아져

심장근육에 충분할 혈액과 산소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허혈) 가슴에 통증이 생깁니다.

심장을 조이는 증상이 있다고 해서 협심이라 칭합니다.

 

협심증 증상

일반적으로 가슴이 쥐어짜듯이 아프거나, 누르듯이 통증이 느껴지거나, 

따갑다는 느낌이 드는 등 통증의 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나며

왼쪽 어깨나 왼쪽 팔의 안쪽 부위로 통증이 퍼져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가슴이 아프다고 해서 무조건 협심증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협심증은 운동 시에 증상이 악화되고 안정 시 완화됩니다.

 

협심증의 종류

 

안정형 협심증:

운동을 하거나 심적 스트레스를 받을 때 일시적 허혈 상태로 생기는 가슴 통증이 있는 경우

불안정형 협심증:

가만히 있을 때도 (안정 시에도) 흉통이 발생하고 통증의 지속시간과 횟수가 증가하는 경우

변이형 협심증:

혈관 내부에 협착보다는 혈관 경련 등에 의해 발생하는 협심증으로

주로 새벽이나 추위에 갑자기 노출 시 주로 발생

드물게 통증이 없는 때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를 무증상 심근 허혈이라 합니다.

 

협심증의 진단과 치료

협심증 진단법의 종류: 증상, 심전도 검사,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활동 중 심전도 검사, 관상동맥 조영술, 운동 부하 심초음파도 검사,

심장 핵의학 검사, 심장 전산화 단층촬영 검사

 

 

협심증의 치료 1

생활요법: 가장 기본적인 치료법으로 금연, 적당한 유산소 운동, 저지방 식이 요법 등의 생활습관관리

약물요법: 니트로글리세린(응급 환자 즉시 치료),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항혈전제, 혈관확장제 등을 투여

 

 

협심증의 치료 2

관상동맥 중재술(확장술): 풍선이 부착된 카테터를 삽입하여 혈관을 넓혀주는 방법으로

넓힌 부위에 스텐트를 삽입하여 혈관을 지지

관상동맥 우회술: 좁아지거나 막힌 관상동맥을 몸의 다른 부분의 혈관으로 우회하는 수술

 

심근경색증과의 차이는?

협심증(심근허혈 상태) / 심근경색증(심근 괴사 상태)

심근경색증은 동행 경화로 좁아진 부위가 갑자기 갈라지거나 터지며,

혈관 내 혈전이 순간적으로 만들어져 관상동맥 혈류를 막아 혈액 공급이 완전히 차단된 상태입니다.

 

 

두 질환 모두 동맥경화가 원인이지만,

혈관이 단순히 좁아져 있는 상태인지 완전히 막혀 있는 상태인지의 차이가 있습니다.

 

협심증을 방치한다며 심근경색증으로 이어져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활습관 관리 및 정기검진을 통해 협심증을 예방하고 협심증 진단 시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